캐티 스틸 선생님의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 안정화 작업]
* 본 세미나는 총 10회에 걸친 해리 장애 치료를 위한 트레이닝 과정( Intensive Training in Treating Dissociative Disorder Certification Course)의 다섯번째 과정입니다. 캐티 스틸 선생님의 트레이닝과정은 총 2년에 걸쳐 진행이 되고 10개의 과정 (총 80시간)을 모두 이수하신 분들에게는 캐티 스틸 선생님과 Psychology Korea가 공동으로 발행하는 수료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각 세미나는 개별 세미나 종료후 5일간 온라인에서 시청하실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2021년 이후 2년간 펼쳐질 해리장애 트레이닝 코스의 일정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강의들을 듣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세미나에 참석하셔도 되고, Psychologykorea.com에서 온라인 강의로 들으셔도 됩니다. 또한 10개의 세미나를 모두 참석하실 수 없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들으셔도 좋습니다.
-
1. 복합 해리 장애 치료: 실질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
2. 자해와 자살사고 Self-harm and Suicidality
-
3. 만성적 수치심과 작업하기 Working with Chronic Shame
-
4. 내면의 비판자와 작업하기 Working with Inner Critic
-
5.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 안정화 작업 Stabilization
-
6. 해리 파트들과 작업하기Working with Dissociative Parts
추후에 일정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
7. 치료적 관계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추후에 일정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
8. 저항과 작업하기 Working with Resistance
추후에 일정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
9. 트라우마 기억 다루기Treating Traumatic Memory
추후에 일정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
10. 통합하기 Integration
추후에 일정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신분석가 권혜경입니다.
오늘은 캐티 스틸 선생님의 다섯번째 워크샵인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 안정화 작업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캐티 선생님의 해리장애에 대한 이해와 치료, 자살과 자해, 만성적 수치심, 그리고 내면의 비판자에 대한 워크샵을 들으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캐티 선생님은 풍부한 임상과 리서치를 바탕으로 워크샵을 듣는 치료사들에게 이론 뿐아니라 실제 임상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아주 실질적인 도구를 많이 주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캐티 선생님 강의를 한번 들으신 분들은 계속 그 다음 강의를 고대하며 지속적으로 듣고 계시는것 같습니다.
내담자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말할 때 우리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흔히 안정화는 트라우마 기억을 다루기 전에 거쳐야 하는 필수 단계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많은 감정적, 관계적 발달 단계를 제대로 경험하지 못한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들에게 안정화는 단지 트라우마 기억을 처리하기 위해 트라우마 기억에 접근하기 전에만 사용하는 수단이 아닙니다.
이들에게 안정화는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과 관계하기 위해, 자신의 신체와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그리고 적응적인 결정을 하기 위해 필수적인 아주 복합한 기술과 능력들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안정화에 대한 워크숍에서는 내담자가 감정을 규명하고, 감정을 조절하고, 또 충동을 조절할 수 있게 돕는 방법들을 찾아보고, 관계에서 친밀함을 느끼고, 경계를 탐색하고, 안전함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내면 경험 뿐 아니라 타인의 내면 경험에 대해서도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할 수 있게 돕는 방법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또한 이들이 일상생활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기능(executive functing)과 다른 적응적 역량들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입니다.
표면적 증상의 치료만이 아닌 그 근본 원인을 찾고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통해 치료사에게는 유능감을, 내담자에게는 보다 많은 자유와 선택을 드리게 하는 싸이칼러지 코리아 워크샵, 캐티 스틸 선생님의 안정화 작업 워크숍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첫번째 개론 세미나인 “복합해리장애의 진단과 치료”, 두번째 “자해와 자살사고에 대한 심리치료”, 세번째 “만성수치심에 대한 이해와 치료”를 수강 못하신 선생님들께서는 Psychologykorea.com에서 온라인강의로 언제든지 수강하실 수 있사오니,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건강하시고 세미나에서 뵐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신분석가 권혜경 드림
-
1. 기술과 발달상 역량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
2. 발달상 역량을 향상시켜야 하는 내담자를 구분할 수 있다.
-
3. 내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을 배우고 성격적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들을 배운다.
-
4. 안정화를 증진시키는 파트들과 작업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
-
5.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가 강화하고 개발해야 하는 역량들에 대해 배운다.
-
6. 안정화를 지지하기 위해 어떻게 치료적 관계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 배운다.
Course Content
복합외상과 해리 내담자 안정화 작업
-
안정화 1일차 Part 1
-
안정화 1일차 Part 2
-
안정화 1일차 Part 3
-
안정화 2일차 Part 1
-
안정화 2일차 Part 2
-
안정화 2일차 Part 3
Instructor

Kathy Steele
캐티 스틸Kathy Steele 선생님은 조지아 아틀란타에서 30년 넘게 개인 치료실을 운영하고 있는 치료사로, 복합외상, 해리, 애착 문제 치료 및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운 치료 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것을 전문 분야로 하고 있습니다. 캐티 선생님은 현재 에모리Emory 대학의 겸임교수이고 국제 트라우마와 해리 연구 협회(ISSTD)의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세계적으로 가장 명망 높은 해리 전문가인 캐티 선생님은 국경을 막론하고 개인, 그룹 수퍼비전과 트라우마 프로그램 컨설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캐티 선생님의 임상적 업적과 출간한 논문 및 책들은 많은 수상을 받았고 특히 ISSTD는 캐티 선생님께 평생 공로상을 수여 했습니다. 캐티 선생님은 많은 논문과 책의 챕터들을 썼고 공저한 책으로는 The Haunted Self (2006)-갇힌 자로 한국에 번역이 되어있음, Coping with Trauma-related Dissociation (2011), Treating Trauma-related Dissociation: A Practical, Integrative Approach (2017) 가 있습니다. 해리와 복합외상 관련하여 19권에 이르는 각종 저서의 챕터들을 썼으며, 3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권혜경 박사: 세미나 진행, 순차 통역 및 번역
권혜경 박사는 실력이 검증된 상담사 그룹, 카운슬러 코리아(www.CounselorKorea.com)의 창립자로서, 소속 상담사들의 임상을 지도하는 총괄 수퍼바이저로도 활동 중이다. 권 박사는 25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가진 정신분석가로, 세계적인 정신분석 연구소인 뉴욕의 National Institutes for Psychotherapies에서 정신분석가 과정을 마치고 뉴욕에서 정신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다. 오랜 기간 다양한 내담자들과 상담해 오면서 거의 대부분의 심리적, 신체적 문제의 원인은 트라우마라는 것을 깨닫고 뇌과학에 바탕한 근거 기반의 트라우마 상담기법들을 훈련받고 임상에 적용하면서 풀리지 않던 상담에 새로운 돌파구들을 마련하게 되었다. 권 박사는 IFS 내면가족체계치료, EMDR, Sensorimotor Psychotherapy, AEDP, Flash Technique, 구조적 해리 이론, 애착 이론 및 다미주신경 이론 등을 훈련을 받았으며, 현재 IFS Institutes 인증 IFS 트레이너이자 수퍼바이저, EMDRIA 인증 EMDR 컨설턴트, Sensorimotor 심리치료연구소의 Advanced SP Practitioner, 세계적인 뉴욕의 정신분석연구소 National Institutes for Psychotherapies의 트라우마 프로그램 수퍼바이저로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임상지도를 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신경과학자인 Stephen Porges 박사가 설립한 Polyvagal Institute의 한국 파트너로서 다미주신경이론 및 관련 상담기법을 국내에 전파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권 박사가 설립한 싸이칼러지 코리아 (www.PsychologyKorea.com)는 한국의 정신건강 전문가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신경과학 근거기반의 상담기법들을 훈련하는 안전한 배움터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권박사의 저서로는 '감정조절: 안전하지 않은 사회에서 나를 지켜내는 방법'과 '심리톡톡 나를 만나는 시간' 등이 있다.